title
2023년 베트남 경제 리뷰 및 2024년 베트남 경제에 미칠 요인들

베트남 IT 생태계와 아웃소싱 현주소
2023년은 베트남 경제가 어려움을 겪은 해였다. 글로벌 이슈로 인한 경기침체 여파는 베트남의 주요 성장 동력인 수출·제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부문의 위축을 불러왔다.
2023년의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 속 베트남은 경기 침체 완화를 위해 다양한 내부 경기 부양책을 실시했다. 이로 인해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이 2023년 2, 3분기 소폭 상승했다. 2023년 4분기 들어서는 대외 수요가 소폭 회복세를 보이며 베트남 무역 부문이 안정되는데, 이는 베트남 내 제조기업들의 생산과 고용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 금액 또한 2023년 3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베트남 경제 침체 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11월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금액 기준, 증감률>
(단위: %)

2024년 베트남은 지속적인 내수 경기 부양책과 글로벌 경기침체 완화에 따른 무역 부문의 개선, 적극적인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정책을 통해 경제성장률의 완만한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베트남 경제에 미칠 주요 요인들
1)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 베트남 경제에 미칠 영향은
OECD/G20 포괄적 이행체계(IF) 필라(Pillar)2에 따라 베트남은 2024년 글로벌 최저한세* 기준도입이 예정되어 있고 지난 2023년 11월 29일 부로 국회 승인을 득하며 2024년 1월 1일 시행이 공식 확정됐다.
이에 따라 2024년부터는 베트남 내 다국적 기업들도 이전까지 받아왔던 법인세 혜택을 볼 수 없게 됐다. 베트남 해외투자유치의 주요 원동력이 조세 유인책인 점을 봤을 때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으로 인해 베트남의 투자매력도가 일시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법인세율이 외국인직접투자(FDI)에 절대적인 요인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전에도 베트남은 3차례 법인세율을 조정했지만 외국인직접투자(FDI) 이행액 추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베트남은 이번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외국인직접투자(FDI) 이탈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 행정절차 간소화 ▲ 인프라 개발 ▲ 인적자원의 개발 등 외국기업 환경 개선 정책을 도입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2) 2024년 베트남 경제, 대외 수요 개선이 관건
최근 베트남의 대외 수요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들이 포착되고 있다. 2023년 4분기부터 글로벌 침체 상황이 조금씩 개선돼 베트남의 대외 수요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4년 대외 수요 전망도 낙관적이다. 세계무역기구(WTO)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세계 상품교역량 증가율 전망치는 3.3%로 2023년(0.8%)에 비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2024년 베트남의 대외 수요 또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주요 경제 성장 동력인 수출·제조업 경기 회복되면 베트남의 경제 침체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3) 시사점
2023년 하반기부터 증가세를 보이는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 금액 ▲ 세계 상품교역량 증가율 상승 전망 등 긍정적인 요인들을 통해 2024 베트남 경제 회복이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과 글로벌 불확실성 등 베트남 경제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도 존재하고 있다. 이에 2024년 베트남 경제 회복을 지원하는 베트남 정부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베트남은 우리 제조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는 국가이면서 2022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국으로 부상한 중요한 파트너이다. 2023년 베트남 경제 침체는 우리 진출기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2024년 베트남의 경제 회복이 전망됨에 따라 우리 진출기업들에도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자료: 세계무역기구(WTO), EuroCharm, 신한은행 IPS 전략부, 베트남 통계청, Trading Economics 등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